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정치부 조아라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한미 정상 간에 이견이 있는 겁니까 없는 겁니까. 이 핵 공동연습과 관련해서요. <br><br>대통령실은 없다고 합니다. <br> <br>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부인한 것은 질문한 기자의 용어가 잘못됐기 때문이라는 설명인데요. <br><br>'핵'이라는 용어가 어디에 붙느냐에 따라 의미가 완전히 달라진다는 겁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이 언급한 '핵 전력 공동 기획- 공동 연습'은 미국의 핵 자산을 사용할 때 한국이 기획 과정부터 훈련까지 함께 참여한다는 거고요. <br> <br>로이터 기자가 사용한 용어, '공동 핵 연습'은 미국 핵 자산이 아니라 핵 보유국들이 각자 역할을 분담해 훈련하는 걸 뜻한다는 겁니다.<br> <br>실제 핵전쟁을 상정해서요. <br> <br>우리는 핵이 없으니 '공동 핵 연습' 용어 자체가 성립할 수 없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입니다. <br><br>Q. 그럼 윤 대통령이 말한 핵 공동 기획은 뭘 하겠다는 건가요? <br><br>올해 상반기 내 실시되는 TTX라고 불리는 훈련이 있는데요. <br> <br>북핵 대응을 위한 시뮬레이션 형식의 한미 간 도상훈련입니다. <br> <br>두 가지의 의미가 있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 5년동안 단 두 차례만 열렸던 도상 훈련을 재개해 한미 간 공조를 강화하겠다는 거고요. <br> <br>또 그동안은 미국이 제공하는 핵우산을 약속받는 정도에 그쳤는데요. <br> <br>이제 미국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해 우리 의견도 반영할 수 있도록 넓혀 나가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미국의 핵 자산인 전략폭격기를 우리 공군 전투기가 지원하는 훈련, '스노캣' 등도 거론되고 있는데요. <br><br>국가안보실 관계자는 "핵무장론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국민 불안을 달래고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기 위해 마련된 방안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미국이 우려하는 핵무장론에는 선을 긋고 대신 국내 안보 우려를 보완하는 절충점을 미국과 논의하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<br><br>Q. 미국이 부담스러워한다면 확정되지 않은 걸 대통령이 섣부르게 말한 감도 있지 않나요? <br><br>네 야권에서도 바로 그 점을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[김의겸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윤 대통령은 새해가 시작되자마자 시원하게 김칫국부터 들이킨 셈입니다." <br> <br>[이재랑 / 정의당 대변인] <br>"미국과 핵 그리고 핵관련 기획, 연습 등은 그 자체로 한반도 안보 큰 영향을 주는 단어 입니다. 대통령의 입이 국가적 리스크가 아니고 무엇입니까" <br> <br>구체적인 핵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의지를 밝힌 대통령과 부담스러운 미국 사이의 온도차가 있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<br><br>Q. 이전 윤 대통령의 발언 논란 있었잖아요. 바이든이냐 날리면이냐, 그 때처럼 또 커질까요? <br><br>한미 정부가 즉각 해명에 나선 만큼 당장 한미 공조에 균열이 일어날 것 같진 않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여러 방안을 미국과 잘 논의하고 있다고 즉각 해명했고요. <br> <br>백악관도 한미가 확장 억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,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과 일치한다고 진화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야당은 최근 윤 대통령의 '확전 각오', '전쟁 준비' 등의 발언이 지나치게 강경 일변도라고 비판하고 있거든요. <br> <br>대통령이 핵 대응을 언급하면서 새해 초반 대통령의 안보 발언을 둘러싼 여야 간 정쟁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아는기자였습니다.